러브 레터 (1995년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브 레터》는 1995년에 개봉한 일본 영화로, 죽은 약혼자를 잊지 못하는 여자와 약혼자의 중학교 동창인 동명이인 여성이 편지를 주고받으며 겪는 그리움과 첫사랑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고베에 사는 와타나베 히로코는 약혼자의 졸업 앨범에서 발견한 옛 주소로 편지를 보내고, 오타루의 도서관에서 일하는 동명이인 여성 후지이 이츠키로부터 답장을 받으면서 두 사람의 기묘한 관계가 시작된다. 영화는 히로코와 이츠키가 편지를 통해 과거의 기억을 공유하며, 약혼자의 첫사랑에 대한 진실을 알아가는 과정을 그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편을 소재로 한 영화 - 비와 당신의 이야기 (영화)
2021년 개봉한 조진모 감독의 로맨스 영화 《비와 당신의 이야기》는 재수생 박영호가 첫사랑 소연에게 편지를 보내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로, 강하늘, 천우희, 강소라 등이 출연했다. - 우편을 소재로 한 영화 - 라스트 레터 (2020년 영화)
2020년 개봉한 이와이 슌지 감독의 영화 《라스트 레터》는 언니의 죽음 후 동창회에서 오해받은 여주인공이 과거 인연과 편지로 재회하는 이야기로, 섬세한 연출과 아날로그 감성이 돋보이며 가족 소통과 상처 극복 메시지를 담고 있다. - 고베시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스즈메의 문단속
스즈메의 문단속은 17세 소녀 스즈메가 재난의 문을 닫기 위한 모험을 그린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애니메이션 영화이며,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어 일본과 대한민국에서 흥행에 성공했다. - 고베시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반딧불이의 묘
반딧불이의 묘는 노사카 아키유키의 자전적 소설을 원작으로 다카하타 이사오 감독이 스튜디오 지브리에서 제작한 1988년 애니메이션 영화로, 태평양 전쟁 말기 고베 대공습으로 고아가 된 남매가 전쟁의 참혹함 속에서 겪는 비극적인 이야기를 그린 반전 영화이며, 다양한 수상 경력과 함께 TV 드라마와 실사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 이와이 슌지 감독 영화 - 뉴욕, 아이 러브 유
《뉴욕, 아이 러브 유》는 뉴욕을 배경으로 다양한 사랑의 형태를 담은 여러 단편 영화들로 구성된 옴니버스 영화이며, 다양한 감독과 유명 배우들이 참여하여 도시의 다채로운 면모와 사랑의 여러 감정을 그려낸다. - 이와이 슌지 감독 영화 - 하나와 앨리스: 살인사건
이와이 슌지 원작의 애니메이션 영화 《하나와 앨리스: 살인사건》은 14살 소녀 앨리스가 친구 하나와 함께 과거 살인사건의 비밀을 파헤치는 이야기로, 아오이 유우, 스즈키 안 등이 출연했으며 판타지아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러브 레터 (1995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Love Letter |
감독 | 이와이 슌지 |
각본 | 이와이 슌지 |
원작 | 소설 《러브레터》 |
제작 | 아베 슈지 이케다 토모키 코마키 지로 나가사와 마사히코 |
출연 | 나카야마 미호 도요카와 에츠시 분자쿠 한 미키 사카이 다카시 가시와바라 란란 스즈키 |
음악 | REMEDIOS |
촬영 | 시노다 노보루 |
편집 | 이와이 슌지 |
제작사 | 후지 TV 아스미크 에이스 |
배급사 | 일본 헤럴드 |
개봉일 | 1995년 3월 25일 (일본) 1995년 9월 8일 (캐나다) 1996년 8월 10일 (대만) 1996년 8월 22일 (홍콩) 1998년 7월 10일 (미국) 1999년 3월 6일 (중국) 1999년 9월 2일 (싱가포르) 1999년 11월 20일 (대한민국) 2005년 10월 27일 (홍콩) 2016년 9월 9일 (대만) 2021년 5월 20일 (중국) 2025년 1월 1일 (대한민국, 30주년 기념 재개봉) |
상영 시간 | 117분 |
제작 국가 | 일본 |
언어 | 일본어 |
흥행 | |
흥행 수익 | ¥8,500,760,900 |
2. 줄거리
고베에 사는 와타나베 히로코는 산악 등반 사고로 약혼자 후지이 이츠키를 잃고 2년이 지난 후에도 그를 잊지 못한다. 이츠키의 3주기 추도식 날, 그의 중학교 졸업 앨범에서 오타루에 있던 옛 주소를 발견한 히로코는 답장을 기대하지 않고 그곳으로 "お元気ですか|오겡키데스카일본어(잘 지내시나요?)"라는 편지를 보낸다.[1][2]
며칠 후, 놀랍게도 '후지이 이츠키'라는 이름으로 답장이 도착한다. 편지를 받은 사람은 히로코의 약혼자와 이름이 같은 여성이었으며, 오타루의 시립 도서관에서 사서로 일하고 있었다. 두 사람은 편지를 주고받으며 서로의 존재를 알게 되고, 히로코는 여성 후지이 이츠키를 통해 자신이 몰랐던 약혼자의 중학교 시절 모습과 숨겨진 추억들을 알아간다.[1][2]
영화는 현재의 히로코와 여성 이츠키가 편지를 교환하는 모습과, 두 '후지이 이츠키'의 중학교 시절 회상 장면을 교차하며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이름이 같아 벌어졌던 학창 시절의 에피소드들과 함께, 남자 이츠키가 남긴 첫사랑의 비밀이 서서히 드러난다. 히로코는 편지를 통해 약혼자의 죽음을 받아들이고 슬픔을 극복해 나가며, 여성 이츠키는 자신도 몰랐던 남자 이츠키의 진심을 깨닫게 된다.[1][2] 영화는 죽은 연인에 대한 그리움과 아련한 첫사랑의 기억을 아름다운 영상과 함께 그려낸다.
2. 1. 편지의 시작
고베에 사는 와타나베 히로코는 산악 사고로 세상을 떠난 약혼자 후지이 이츠키의 3주기에 참석한다. 그곳에서 히로코는 이츠키의 어머니로부터 그의 중학교 시절 졸업 앨범을 건네받는다. 앨범 속에서 히로코는 이츠키가 과거에 살았던 오타루의 옛 주소를 발견하고, 그곳으로 "お元気ですか|오겡키데스카일본어(잘 지내시나요)"라는 안부 편지를 보낸다. 답장은 기대하지 않았지만, 며칠 후 '후지이 이츠키'라는 이름으로 답장이 도착한다.
놀랍게도 편지를 받은 사람은 히로코의 약혼자와 이름이 같은 동명이인이자, 오타루의 시립 도서관에서 사서로 일하는 여성이었다. 처음에는 장난 편지라고 생각했던 여성 후지이 이츠키는 히로코에게 답장을 보내고, 두 사람은 기묘한 편지를 주고받기 시작한다. 이후 히로코의 친구인 아키바 시게루가 여성 이츠키에게 연락하면서, 히로코는 자신이 편지를 보내온 상대가 죽은 약혼자가 아닌 동명이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히로코는 여성 이츠키에게 사과하는 편지를 보내며, 자신이 사랑했던 약혼자 후지이 이츠키에 대해 더 알고 싶다는 마음을 전한다.
2. 2. 두 명의 이츠키
고베에 사는 와타나베 히로코는 사고로 세상을 떠난 약혼자 후지이 이츠키의 삼주기 추도식 날, 그의 중학교 졸업 앨범에서 옛날 오타루 주소를 발견한다. 히로코는 혹시나 하는 마음에 그 주소로 お元気ですか|오겡키데스카일본어(잘 지내시나요?)라는 짧은 편지를 보낸다.[1][2]
놀랍게도 답장이 도착하는데, 편지를 받은 사람은 히로코의 약혼자와 이름이 같은 여성 후지이 이츠키였다. 오타루의 시립 도서관에서 사서로 일하는 그녀는 처음에는 장난 편지라고 생각했지만, 히로코의 계속되는 편지에 답장을 보내면서 둘 사이에 기묘한 편지 교환이 시작된다.[1][2] 히로코의 친구인 아키바 시게루가 여성 이츠키에게 편지를 보내 신원을 확인하면서, 히로코는 자신이 편지를 주고받는 상대가 약혼자가 아닌 동명이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1][2]
진실을 알게 된 히로코는 여성 이츠키에게 사과하고, 자신이 몰랐던 약혼자 후지이 이츠키의 학창 시절 모습에 대해 더 알고 싶다고 부탁한다.[1][2] 또한 히로코는 졸업 앨범에 후지이 이츠키라는 이름이 두 명이었다는 사실을 뒤늦게 깨닫고, 약혼자가 자신과 외모가 닮은 여성 이츠키 때문에 자신에게 호감을 느꼈던 것은 아닌지 궁금해하며 이츠키에게 그의 중학교 시절 추억을 공유해 달라고 요청한다.[1]
여성 이츠키는 히로코의 요청에 따라 남성 후지이 이츠키와의 중학교 시절 기억을 회상하며 편지를 쓴다. 이름이 같다는 이유로 반 친구들에게 놀림을 받거나, 함께 도서 위원을 맡았던 일, 특히 남성 이츠키가 아무도 빌리지 않는 책의 대출 카드에 자신의 이름을 잔뜩 적어놓았던 기행 등을 떠올린다.[1][2] 히로코가 보내준 즉석 카메라로 모교를 찾아간 이츠키는 현재의 도서 위원 여학생들로부터, 도서 카드에 적힌 수많은 '후지이 이츠키'의 이름을 찾는 '후지이 이츠키 찾기 게임'이 유행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2]
여성 이츠키는 중학교 3학년 겨울, 아버지가 돌아가신 직후 남성 이츠키가 찾아와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7권 책 한 권을 대신 반납해달라고 맡기고는 말없이 전학을 갔다는 사실을 기억해낸다.[1][2] 시간이 흘러 퇴원한 이츠키에게 중학교 도서 위원 후배들이 찾아와 바로 그 책을 건넨다. 책의 마지막 대출 카드 뒷면에는 남성 이츠키가 연필로 그린 여성 이츠키의 초상화가 그려져 있었다. 여성 이츠키는 그 그림을 통해 남성 이츠키의 오랜 첫사랑이 자신이었음을 깨닫고 조용히 눈물을 글썽인다.[1][2]
2. 3. 기억과 진실
히로코는 여자 이츠키에게 죽은 약혼자 후지이 이츠키에 대한 중학교 시절의 추억을 더 자세히 알려달라고 편지를 보낸다. 이에 여자 이츠키는 과거를 회상하며 답장을 써 내려간다.회상 속에서, 남자 후지이 이츠키는 여자 후지이 이츠키와 이름이 같다는 이유로 종종 반 친구들의 놀림감이 되었고, 둘은 함께 도서 위원 활동을 하게 된다. 여자 이츠키의 기억 속 남자 이츠키는 다른 학생들이 잘 빌리지 않는 책들만 대출하는 등 조금은 특이하고 수줍음 많은 소년이었다. 여자 이츠키는 남자 이츠키를 짝사랑하던 친구 사나에를 위해 중매 역할을 하려 했지만 잘되지 않았다. 중학교 3학년 초, 여자 이츠키는 아버지를 폐렴으로 잃고 슬픔에 잠겨 있었다. 어느 날 남자 이츠키가 집으로 찾아와 그녀에게 책 반납을 부탁했고, 며칠 뒤 학교에 가보니 그는 이미 전학을 간 뒤였다. 그 책을 주고받았던 것이 여자 이츠키가 남자 이츠키를 본 마지막 순간이었다.
한편, 히로코는 친구 아키바 시게루와 함께 남자 이츠키가 조난당했던 산을 찾아간다. 산장에서 하룻밤을 보낸 다음 날 아침, 아키바는 떠오르는 해를 보며 산 정상을 향해 "히로코는 내가 가졌어!"라고 외친다. 히로코 역시 산을 향해 "잘 지내시나요? 저는 잘 지내요!"라고 반복해서 외치며 오열하고, 마침내 약혼자에 대한 미련을 떠나보낸다.
시간이 흘러 퇴원한 여자 이츠키에게 어느 날, 모교의 후배 도서 위원들이 찾아온다. 그들은 남자 이츠키가 전학 가기 전 여자 이츠키에게 맡겼던 책을 들고 와, 책 속 도서 대출 카드 뒷면에 무언가 그려져 있다고 알려준다. 여자 이츠키가 카드를 뒤집어 보자, 거기에는 중학교 시절 자신의 얼굴을 그린 스케치가 있었다. 그제야 여자 이츠키는 남자 이츠키의 첫사랑이 자신이었음을 깨닫고, 부끄러움에 조용히 눈물을 글썽인다. 그녀는 이 사실을 히로코에게 보내는 편지에는 담지 않기로 한다.
2. 4. 첫사랑의 발견
시간이 흘러 퇴원한 여자 후지이 이츠키의 집에, 그녀가 다녔던 중학교의 도서 위원 후배 여학생들이 찾아온다. 그들은 과거 남자 후지이 이츠키가 전학 가기 전 여자 이츠키에게 돌려달라고 맡겼던 책을 발견한다. 학생들은 책 속 도서 대출 카드에 적힌 '후지이 이츠키'라는 이름을 확인하고 무심코 카드 뒷면을 보게 된다. 카드 뒷면에는 남자 이츠키가 연필로 정성껏 그린 여자 이츠키의 중학교 시절 모습이 담긴 초상화가 있었다. 이를 본 여자 이츠키는 자신을 향한 남자 이츠키의 오랜 첫사랑을 비로소 깨닫고 부끄러움과 감동이 뒤섞인 눈물을 조용히 흘린다.3. 등장인물
(내용 없음)
3. 1. 주요 인물
wikitext등장인물 | 배우 | 비고 |
---|---|---|
와타나베 히로코 | 나카야마 미호 | 1인 2역 |
후지이 이츠키 (여) | 나카야마 미호 | 1인 2역 |
후지이 이츠키 (여, 소녀 시절) | 사카이 미키 | |
후지이 이츠키 (남, 소년 시절) | 가시와바라 다카시 | [11] |
아키바 시게루 | 도요카와 에츠시 | |
후지이 아키코 (이츠키 여 母) | 한 분자쿠 | [12] (다른 표기: 반자쿠 한, 판 분췌) |
후지이 야스요 (이츠키 남 母) | 카가 마리코 | |
후지이 고키치 (이츠키 여 祖父) | 시노하라 카츠유키 | |
후지이 세이이치 (이츠키 남 父) | 스즈키 케이이치 | |
후지이 신키치 (이츠키 여 父) | 타구치 토모로오 | |
아베 카스 | 미츠이시 켄 | |
오이카와 사나에 | 스즈키 란란 | |
카지 아버지 | 시오미 산세이 | (다른 표기: 카지오야지) |
하마구치 선생님 | 나카무라 쿠미 | (학교 담임 선생님) |
우편배달부 하루오 | 칸베 히로시 | (다른 표기: 고베 히로시) |
토시미츠 | 우메다 히로카즈 | |
하루미 | 오사다 에미코 | |
스즈미 | 오구리 카오리 | |
운전수 | 사카이 토시야 | |
담임 | 야마구치 아키라시 | |
아베 카스의 아내 | 야마구치 시후미 | |
학년 주임 | 야마자키 하지메 | |
남자 | 토쿠이 유 | |
간호사 | 무토 스미 | |
도서 위원 하루카 | 후지무라 치카 | |
도서 위원 케이코 | 이치카와 사키 | |
도서 위원 마리 | 하야시 미에 | |
도서 위원 유코 | 타카하라 유 | |
도서 위원 아야 | 소노다 아키코 | |
도서 위원 치카 | 키무라 아야 |
3. 2. 조연
wikitext배우 | 역할 |
---|---|
나카야마 미호 | 와타나베 히로코 / 후지이 이츠키 (여) (1인 2역) |
토요카와 에츠시 | 아키바 시게루 |
사카이 미키 | 후지이 이츠키 (여) - 중학생 시절 |
카시와바라 타카시 | 후지이 이츠키 (남) - 중학생 시절[11] |
한 분자쿠[12] | 후지이 아키코 (후지이 이츠키(여)의 어머니) |
카가 마리코 | 후지이 야스요 (후지이 이츠키(남)의 어머니) |
시노하라 카츠유키 | 후지이 고키치 (후지이 이츠키(여)의 할아버지) |
타구치 토모로오 | 후지이 신키치 (후지이 이츠키(여)의 아버지) |
스즈키 케이이치 | 후지이 세이이치 (후지이 이츠키(남)의 아버지) |
미츠이시 켄 | 아베 카스 |
시오미 산세이 | 카지 아버지 |
나카무라 쿠미 | 하마구치 선생님 (학교 담임) |
스즈키 란란 | 오이카와 사나에 |
고베 히로시 | 하루오 |
칸베 히로시 | 우편배달부 |
우메다 히로카즈 | 토시미츠 |
오사다 에미코 | 하루미 |
오구리 카오리 | 스즈미 |
사카이 토시야 | 운전수 |
야마구치 아키라시 | 담임 |
야마구치 시후미 | 아베 카스의 아내 |
야마자키 하지메 | 학년 주임 |
토쿠이 유 | 남자 |
무토 스미 | 간호사 |
후지무라 치카 | 도서 위원 하루카 |
이치카와 사키 | 도서 위원 케이코 |
하야시 미에 | 도서 위원 마리 |
타카하라 유 | 도서 위원 유코 |
소노다 아키코 | 도서 위원 아야 |
키무라 아야 | 도서 위원 치카 |
3. 3. 한국판 성우진 (SBS, 2004년)
- 윤여진 - 후지이 이츠키 (여) (나카야마 미호 / 사카이 미키 역)
- 이선 - 와타나베 히로코 (나카야마 미호 역)
- 표영재 - 후지이 이츠키 (남) (카시와바라 타카시 역)
- 오인성 - 아키바 시게루 (토요카와 에츠시 역)
- 박상일 - 후지이 고키치 (시노하라 카츠유키 역)
- 유명숙 - 후지이 야스요 (카가 마리코 역)
- 신흥철 - 카지 아버지 (시오미 산세이 역)
- 윤소라 - 후지이 아키코 (판 분췌 역) / 하마구치 선생님 (나카무라 쿠미 역)
- 이종혁 - 후지이 세이이치 (스즈키 케이이치 역) / 아베 카스 (미츠이시 켄 역)
- 전광주 - 아키바의 친구 (와타루 아리타 역)
- 신소윤 - 오이카와 사나에 (스즈키 란란 역) / 하루미 (오사다 에미코 역)
- 사성웅 - 아키바의 친구 (고토 나오키 역) / 토시미츠 (우메다 히로카즈 역)
- 김창기 - 운전수 (사카이 토시야 역)
- 조예신 - 스즈미 (오구리 카오리 역)
- 국승연 - 도서 위원 하루카 (후지무라 치카 역)
4. 제작진
- 감독·각본·편집·원작: 이와이 슌지
- 음악: 레메디오스
-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REMEDIOS (킹 레코드)
- 이미지 송: 더 필로우즈 「걸프렌드」 (킹 레코드)
- 촬영: 시노다 노보루
- 조명: 나카무라 유키
- 미술: 호소이시 테루미
- 기록: 시라토리 아카네
- 조감독: 유키사다 이사오
- 촬영 보조: 기타 노부야스, 후쿠모토 준
- 포스트 프로덕션 프로듀서: 가케스 슈이치
- 편집 보조: 이마이 고, 오타케 야요이
- AVID 엔지니어: 고지마 토시히코
- 음향 효과: 곤노 야스유키
- 현상: IMAGICA
- 협력: 오타루시, 일본 에어 시스템 외
- 제작자: 무라카미 코이치, 시게무라 하지메, 호리구치 즈이치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마츠시타 치아키, 아베 슈지
- 프로듀서: 고마키 지로, 이케다 토모키, 나가사와 마사히코
- 어소시에이트 프로듀서: 카와이 신야
- 제작 협력: ROBOT
- 제작: 후지 TV, 헤럴드 에이스
- 상영 시간: 117분
5. 영화 속 장소
(내용 없음)
6. 수상 내역
wikitext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작품 |
---|---|---|---|
1995년 | 토론토 국제 영화제 | 관객상 | 러브 레터 |
몬트리올 세계 영화제 | 관객상 | 러브 레터 | |
제8회 닛칸 스포츠 영화 대상 | 신인상 | 이와이 슌지 | |
호치 영화상 | 감독상 | 이와이 슌지 | |
여우주연상 | 나카야마 미호 | ||
남우조연상 | 토요카와 에츠시 | ||
요코하마 영화제 | 작품상 | 러브 레터 | |
감독상 | 이와이 슌지 | ||
주연 남우상 | 토요카와 에츠시 | ||
주연 여우상 | 나카야마 미호 | ||
최우수 신인상 | 사카이 미키 | ||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 일본 영화 우수상 | 러브 레터 | |
키네마 준보 베스트 텐 | 작품상 (베스트 텐 3위) | 러브 레터 | |
독자 선정 베스트 텐 1위 | 러브 레터 | ||
독자 선정 감독상 | 이와이 슌지 | ||
1996년 | 일본 아카데미상 | 우수 작품상 | 러브 레터 (후보) |
신인 배우상 | 사카이 미키 | ||
신인 배우상 | 카시와바라 타카시 | ||
화제상 (배우 부문) | 토요카와 에츠시 | ||
우수 조연 남우상 | 토요카와 에츠시 (후보) | ||
우수 음악상 | 레메디오스 (후보) | ||
블루리본상 | 여우주연상 | 나카야마 미호 | |
제10회 다카사키 영화제 | 최우수 주연 여우상 | 나카야마 미호 | |
최우수 조연 남우상 | 토요카와 에츠시 | ||
최우수 신인 남우상 | 카시와바라 타카시 | ||
젊은 감독 그랑프리 | 이와이 슌지 | ||
제21회 오사카 영화제 | 작품상 | 러브 레터 | |
감독상 | 이와이 슌지 | ||
신인상 | 사카이 미키 | ||
제6회 문화청 영화상 | 우수 영화 작품상 | 러브 레터 | |
제46회 예술선장상 | 신인상 | 이와이 슌지 |
7. 한국에서의 영향
한국에서는 1999년에 영화가 개봉되어 14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했다[5]. 이는 한국 정부가 1998년 10월에 일본 대중 문화 유입 제한 조치를 단계적으로 완화한 이후, 한국에서 처음으로 큰 성공을 거둔 일본 영화로 평가받는다. 이전에 개봉했던 하나비, 그림자 무사, 우나기 등은 대부분 2주 만에 상영이 종료되었고, 관객 수도 5만에서 9만 명(문화관광부 조사 기준)에 그쳐 흥행에 어려움을 겪었다[6].
영화의 인기는 한국 사회에도 영향을 미쳤다. 극 중 등장하는 대사인 "잘 지내시나요?"는 큰 유행어가 되었으며[7], 토요카와 에츠시가 연기한 아키바 시게루의 간사이벤 대사 "그게 야마다 씨 댁이면, 편지는 안 갈 텐데"는 예능 프로그램에서 성대모사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했다[7]. 또한 영화의 배경이 된 오타루는 한국인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명소가 되었으며[7], 대한민국 드라마인 달콤한 인생에서는 초반부에 주인공이 이 영화의 영향으로 오타루를 방문하는 설정이 등장하기도 했다.
8. 기타
- 영화 속 남자 후지이가 시험지에 그린 그림과 도서카드 속 그림은 모두 감독 이와이 슌지가 직접 그린 것이다.[13] 이 도서 카드는 촬영 종료 후 기념으로 배우 사카이 미키에게 전달되었으며, 그는 30주년 기념 영상에서도 이를 소장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림은 극 중 후지이 이츠키(여)의 집으로 등장하는 저택의 코타츠 안에서 그려졌다고 한다.
- 러브 레터는 홋카이도 오타루와 고베를 배경으로 하며, 편지를 통해 시작되는 러브 스토리를 다룬다.
- 영화는 여러 시상식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주요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시상식 | 부문 | 수상자/작품 |
---|---|---|
제19회 일본 아카데미상[4] | 우수 작품상 | 러브 레터 |
우수 남우조연상 | 토요카와 에츠시 (아키바 시게루 역) | |
화제상 (배우 부문) | 토요카와 에츠시 | |
신인 배우상 | 카시와바라 타카시 (소년 후지이 이츠키 역), 사카이 미키 (소녀 후지이 이츠키 역) | |
우수 음악상 | REMEDIOS | |
블루리본상[2] | 여우주연상 | 나카야마 미호 (와타나베 히로코 / 후지이 이츠키 역) |
호치 영화상[2] | 여우주연상 | 나카야마 미호 |
요코하마 영화제[2] | 여우주연상 | 나카야마 미호 |
다카사키 영화제[2] | 여우주연상 | 나카야마 미호 |
키네마 준보[2] | 1995년 베스트 텐 | 3위 |
키네마 준보 독자 선정[2] | 1995년 베스트 텐 | 1위 |
- 제작은 후지 TV가 맡았으며, 한국에서는 1999년에 영화가 개봉하여 14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했다.[5] 이는 한국 정부가 1998년 10월 일본 대중 문화 유입 제한 조치를 단계적으로 완화한 이후, 한국에서 처음으로 크게 성공한 일본 영화로 기록되었다. 이전에 개봉했던 『하나비』, 『그림자 무사』, 『우나기』 등은 모두 2주 만에 상영이 종료되고 관객 수도 5만~9만 명(한국 문화관광부 조사)에 그치는 등 흥행 성적이 좋지 않았다.[6]
참조
[1]
웹사이트
koreanfilm
http://koreanfilm.or[...]
2012-03-04
[2]
뉴스
Love Letter(1995)
https://web.archive.[...]
文化庁
2019-04-08
[3]
뉴스
“日本映画の変革者ROBOT 制作会社ロボットの挑戦” 『Love Letter』/『幕が上がる』上映会
https://artalert-sap[...]
ART AleRT SAPPORO 編集部
2016-03-27
[4]
뉴스
第19回日本アカデミー賞
https://www.japan-ac[...]
日本アカデミー賞協会
2019-04-08
[5]
웹사이트
日本映画「ラブレター」 ソウルで21年ぶり再上映へ
http://world.kbs.co.[...]
2020-03-31
[6]
뉴스
「Love Letter」韓国でウケた 若い女性の心つかみ25万人動員
https://web.archive.[...]
1999-11-25
[7]
뉴스
岩井俊二監督「『お元気ですか』…韓国では今も流行っているんですか?」
https://news.kstyle.[...]
LINE
2016-01-30
[8]
뉴스
映画「ラブレター」ロケ地 小樽の旧坂別邸が全焼
https://web.archive.[...]
産業経済新聞社
2007-05-27
[9]
서적
探偵!ナイトスクープ アホの遺伝子
ポプラ社
[10]
웹사이트
〈10〉時を超える「愛の手紙」【ゲイルズバーグの春を愛す】
https://www.nishinip[...]
西日本新聞社
2015-06-18
[11]
문서
후지이 이츠키(남)의 성인 시절 모습은 등장하지 않는다.
[12]
문서
1948~2002,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중화민국 국적의 화교이지만, 일본에서 태어나고 자라서 중국어는 구사하지 못한다. 암 합병증으로 인해 54세로 사망하였다.
[13]
웹사이트
この二つは僕が描きました。
https://x.com/sindy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